• 오픈 노동문제연구공간 노동학포럼
  • 로그인 
  • 일반회원가입 
  • 전문가회원가입 
  • 공모이벤트 

법률정보도우미

공지사항

공지사항

자료실

자료실

화제의 판결

화제의 판결
변호사 전화 상담
  • 뉴스홈
  • 지방선거
  • 사회
  • 정치
  • 경제
  • 국제
  • 문화/생활
  • Tech
  • 칼럼
  • 포토
  • TV
  • 매거진
  •   |
  • 뉴스통계  |
  • 전체기사

  • 소개
  • 집단지성
  • 전문가칼럼
  • 노동법판례
  • 노동학리뷰
  • 행사 · 강연
  • 추천영상
  • 노동관련상담
  • 커뮤니티

공지  노동학 리뷰 원고모집안내

알림사항 노동학포럼 전문가 회원 참여 안내

  • 1:1 비밀상담
  • 강연요청
  • 설문조사
  • 제휴문의

02.514.0064

^
TOP

  • 화제판결
  • AD
  • 대학교 기간제 교원의 기본급을 인상하면서 상여수당을 삭감한 취업규칙의
    2024다293092   임금   (아)   파기환송 [대학교 기간제 교원의 기본급을 인상하면서 상여수당을 삭감한 취업규칙의 변경이 근로자에게 불이익한 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취업규칙의 변경이 근로자에게 불이익한지 여부에 관한 판단 방법◇  ...2025-04-22
  • 작업수행에 수반하여 건설기계를 이동시키던 중 피해자가 상해를 입은 사
    2024도15542   업무상과실치상    (가)   상고기각[작업수행에 수반하여 건설기계를 이동시키던 중 피해자가 상해를 입은 사건] ◇건설기계 운전자가 건설기계를 운전하는 등의 행위로 업무상과실치상 등의 죄를 범한 경우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이하 ‘교통사고처리법’...2025-04-22
  • 주현종공인노무사사무소
    전주시 완산구 소재 노무사, 임금체불, 부당해고, 산업재해, 직장내괴롭힘, 단체교섭, 단체협약, 노동관계법령상담.
  • 대상노무법인
    햇빛같이 든든한 인사노무의 전략적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전문적 지식, 15년 이상의 실무 경험, 노사상생에 대한 존중
  • 앵프라맹스 교육연구소
    인권교육, 법정의무교육(직장내괴롭힘예방,직장내성희롱예방,개인정보보호, 장애인식개선교육), 청소년 인권교육

1심 이어 2심도… "마켓컬리 새벽 배송기사는 근로자"
출처원문
  • 네이버 밴드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록일 : 2025/01/10 l 작성자 : 려온서 l 조회수 : 114849 l 인쇄하기

새벽배송 전문업체 컬리의 배송 업무를 대신하는 배송기사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봐야 한다는 1심 법원 판단이 항소심에서도 유지됐다. 

 

회사와 고용계약이 아닌 위탁계약을 맺고 업무 범위가 '새벽배송'에 한정됐더라도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임금을 받았다면 근로자로 봐야 한다는 취지다.

 

최근 법원이 배송기사의 근로자 지위를 폭넓게 인정하고 있는 만큼 관련 업계에서는 인력 관리비용 증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고법 행정10-1부는 배송기사 A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요양불승인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는 컬리넥스트마일에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로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판결한 원심을 그대로 유지했다.

 

재판부는 항소 비용 중 원고와 피고 사이에 생긴 부분은 피고가, 원고와 피고 보조참가인(컬리넥스트마일) 사이에 생긴 부분은 피고 보조참가인이 각각 부담하라고 했다.

A씨는 이커머스 기업 컬리의 물류 자회사인 컬리넥스트마일과 화물운송 위탁계약을 맺고 새벽배송 업무를 담당했다. 그는 2020년 12월 22일 새벽 인천 서구에서 배송업무를 하던 중 중앙분리대를 들이받는 사고로 골절 등 중상을 입었다. 그는 "업무상 재해를 당했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 신청을 했다.

하지만 근로복지공단은 "A씨는 별도 사업자로 등록하고 회사와 위탁계약을 체결했으므로 산재보험법 적용 대상인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니다"며 요양불승인을 결정했다.

택배기사는 산재보험법 제125조가 정한 특수형태근로종사자(택배원)로서 산재보험법 적용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근로복지공단은 조사를 통해 '새벽배송'만 담당하는 A씨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사고 당시 A씨의 새벽배송 업무에는 산재보험법에서 정한 집화 과정이 없고, 수도권과 지방 등 물류 수송과정 없이 소비자가 주문한 물품을 화주의 요구에 따라 운송하는 업무만 수행했기 때문에 택배사업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불복한 A씨는 근로복지공단에 심사청구를 했으나 기각됐고, 2022년 9월 이 사건 소송을 제기했다.

1심 재판부는 컬리넥스트마일이 사실상 A씨의 업무를 지휘·감독했다고 보고 2023년 7월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실제로 A씨는 사고 당시 화물 상차부터 배송 완료까지 모든 업무 과정을 회사가 제공한 모바일 앱에 입력했다. 회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체 대화방을 통해 A씨에게 업무 내용을 지시했고, 배송지역 조정·계약 해지 등의 처분을 내릴 수도 있었다.

A씨의 출근 장소와 담당 배송 지역이 특정됐고, 지정된 시간(다음날 오전 7시) 이내에 화물을 배송해야 하는 점과 회사로부터 운송료 등 명목으로 매월 480만원의 고정급을 받은 점도 근로자로 인정받은 근거가 됐다.

이날 항소심 재판부도 1심 판결이 정당하다고 보고 피고 측 항소를 기각했다.

이 사건은 배송기사의 근로자 지위 인정 여부를 다투는 사건에서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임을 인정한 첫 사례다. 그동안 배송기사에 관한 근로자 지위 관련 소송은 주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상 근로자’ 지위에 따른 교섭권 인정 여부가 쟁점일 때가 많았다.

이 사건 1심 판결 이후 쟁점이 비슷한 다른 사건에서도 배송기사 손을 들어주는 하급심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은 작년 8월 모바일 세탁서비스 업체 런드리고로부터 위탁받은 세탁물 새벽배송 업무를 하다 교통사고로 사망한 지입기사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지입기사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지위를 인정했다.

법원이 배송기사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자위를 인정하는 판결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관련 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배송기사도 근로기준법이 보장하는 퇴직금, 각종 수당 등을 요구하는 일이 늘어남에 따라 인력 관리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추천링크

  • 광주 더블업노무사손해사정산재. 보험금 모르면 손해, 사정해야죠! 손해보는 남자, 공인노무사 / 손해사정사 정준업이 함께 합니다.
  • 구로구 디자털단지 노무법인 가경기업자문, 산업재해, 부당해고 부당징계, 임금체불. 체당금. 사내교육 기타강의 노무전문서비스
  • 노무법인 효율효율적 노사관리 분쟁의 효과적 해결 효율노무법인이 함께 하겠습니다. 노동사건 대리, 규정정비 컨설팅, 부당해고 구제신청, 노무관리자문.
  • 종로구 노무법인 지음 노동사건, HR컨설팅, 인사노무관리, 국립대학교 노무관리, 공공기관경영평가, 노동부감독대응, 사업장노무진단
  • 앵프라맹스 교육연구소뛰어난 인권감수성을 가진 인권교육가 김희영입니다. 인권교육, 법정의무교육, 청소년 인권교육을 담당진행합니다

댓글 0개 (욕설이나 비방글은 동의 없이 임의삭제될 수 있습니다. 매너있는 댓글 부탁드립니다.)

노동학포럼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신뢰있는 답변이 될 수 있도록 전문가 회원의 댓글과 일반회원의 댓글을 구분표시 하고 있습니다. 변호사 변 법무사 법 회계사 회 세무사 세 로 표시됩니다.

  • ★ 비방이나 욕설글 등은 임의 삭제됩니다. 매너있는 댓글을 부탁드립니다.

★ 비방이나 욕설글 등은 임의 삭제됩니다. 매너있는 댓글을 부탁드립니다.

노동법 판례

검색

  • 전체
  • 화제의판결
  • 근로기준법기본사항
  • 근로자판단기준
  • 사용자판단기준
  • 근로계약의 체결과 내용
  • 취업규칙과 노사관행
  • 인사권과 징계권
  • 근로시간,휴게시간,휴일
  • 임금(통상,평균임금)
  • 산재보험제도
  • 퇴직 등 계약기간만료
  • 종류별해고
  • 노동조합
  • 부당노동행위
  • 비정규직.특수근로자
  • 노동법위반책임
  • 남녀차별,성희롱
  • 직장내괴롭힘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날짜
189 대학교 기간제 교원의 기본급을 인상하면서 상여수당을 삭감한 취업규칙의 변…    대학원 18352 25.04.22
188 작업수행에 수반하여 건설기계를 이동시키던 중 피해자가 상해를 입은 사건    대학원 18059 25.04.22
187 하위 인사고과 부여, 승격 탈락 및 이에 따른 임금 지급에 대한 부당노…    대학원 17764 25.04.22
186 대법 "재직자만 받는 조건부 상여금, 통상임금 맞다" 재차 인정    카이저 72177 25.01.31
185 1심 이어 2심도… "마켓컬리 새벽 배송기사는 근로자"    려온서 114850 25.01.10
184 법원 “KBS, 공채와 무기계약직 출신 간 ‘호봉 차이’ 적법”    뉴아돔스 123737 25.01.07
183 세탁물 새벽배송하다 사망한 지입기사…법원 "산재 인정"    뉴아돔스 169977 24.10.16
182 사은품 머그잔 가져갔다고 직원 해고…법원 "부당해고"    다이아 166039 24.10.15
181 이직 5개월만에 목숨 끊은 펀드매니저…법원 “업무상 재해”    다이아 171892 24.10.15
180 "대리기사도 노조법상 근로자" 첫 대법 판단…파업·단체교섭 길 열렸다    미연 176329 24.10.02
179 근로자지위확인등청구의소·근로자지위확인 등    노량진 183103 24.08.13
178 임금·부당이득금반환 택시회사의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가 무효인지 여부가 …    노량진 71208 24.08.13
177 요양급여및급여비용불인정처분취소청구    노량진 67619 24.08.13
176 "출산휴가 끝났니? 복직하지 말고 퇴사해"…女변호사 해고한 로펌    카이저 68447 24.08.09
175 사업장에 하나뿐인 노조, 사측과 단체협약 체결했더라도 기존 노조 지위는 …    뉴아돔스 67343 24.08.08
174 법원 "별개 법인이라도 사실상 경영자 같으면 하나의 사업장"    천천히걷기 73389 24.07.08
173 대법 "산재보험 평균임금, 정부통계 임의로 섞어 산정 안돼"    천천히걷기 77050 24.07.08
172 무면허로 회사 차 몰다가 사망했지만 법원이 ‘산재’ 판단    대학원 40458 24.05.01
171 임금채권에 관하여 근로자에게 불리할 수 있는 의사표시는 엄격하게 해석하여…    카이저 30840 24.04.30
170 (해임처분취소)사립학교 교원에 대한 해임처분에 관한 소청심사청구 이후 당…    카이저 40498 24.04.30

<<12345678910>>

등록 배너
  • 커뮤니티 +
  • “인구구조 변화… 2032년 취업자 수 ‘마이너스’ 전환”
  • "한국노동연구원장의 직장내괴롭힘·노조탄압, 즉각 조사하라"
  • 최저임금 업종 구분적용 충돌…"차별 제도화" vs"소상공 어려워"
  • ‘생계형 노동’ 늘어난 노인, 일하는 청년과 같아졌다
  • 검찰, ‘쿠팡 일용직 퇴직금 미지급’ 사건 중요 압색영장 누락한 후 ‘불기소’
  • 급여 · 노무 상담 +
  • 퇴직금 문의
  • 공장폐쇠로인한 근로자 전환배치
  • 퇴직급여 상담
  • 계약기간 만료라고 하면서 부당해고 통보 받았습니다.
  • 부당해고로 제 권리 이젠 찾고 싶습니다.
  • 행사 · 강연안내 +
  • 감정노동/직장 내 괴롭힘 1:1 심리상담



  • 집단지성 : 노동시장관련 전 분야에 대한 의견이나 아티클을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올릴 수 있습니다. 출판을 원하는 아티클, 칼럼의 경우 별도 신청체크를 할 수 있고, 심사후 출판에 활용되어질 오픈공간입니다.
  • 노동학리뷰 : 학술지 등재 등의 논문이 아닌 우리 모두의 자연스런 의견들이 기재될 노동관련 도서를 추구합니다. 누구나 자연스럽고 쉽게 노동학을 인지하고 접근할 수 있는 가교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 전문가
    칼  럼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노동시장 전 분야에 대해 분석하고 제공하는 칼럼공간입니다.
  • 추천강좌
    스케쥴러
    추천하고 싶은 관련 강좌나 영상, 널리 알리고 홍보하시려고 하는 행사나 강의일정, 정보 등에 대해서 이용자 스스로 올리고 관리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설문조사각종 이슈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직관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자료를 디비화 하고, 차후 연구 논문 등에 본 설문조사 시스템이 활용되도록 구축.
  • 노동학
    콘테스트
    노동시장, 노동경제, 노동정책 등 노동연구 분야별 대학(원)생 대상 연구논문 콘테스트(상금 등 매년 1회)
    (매경논문공모전처럼 노동학 중심 공모전 진행예정)
  • 제휴문의노동학포럼과 함께하실 다양한분야의 제휴 제안을 기다립니다.
  • 같이함께
    Partner
    노동학포럼과 함께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회사들을
    소개하고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 --> -->

Copyight (c)노동학포럼. All Rights Reserved. 2022. E.mail : new_nodong@naver.com